2025 신혼부부 임대주택 지금 신청하세요
2025년 신혼부부 임대주택을 준비 중이시라면 지금이 바로 알아볼 타이밍이에요. 국토교통부는 2025년 6월 26일부터, 신혼부부 임대주택 2025에 대한 2차 입주자 모집을 발표했어요. 청년과 신혼을 비롯해 특히 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우선공급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도입해 화제가 되고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신혼부부 임대주택을 신청하려는 분들을 위해 정확한 조건, 신청방법, 우선공급 대상, 소득 기준 등을 모두 정리해 드릴게요. 특히 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우선공급 대상은 놓치면 안 될 중요한 요소이니 꼭 보세요.
목차 |
1. 신혼부부 임대주택 2025: 어떤 내용이 바뀌었을까? |
2. 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우선공급이란? |
3. 신혼부부 매입임대 소득 기준 및 신청 자격 |
4. 2025년 청년 및 신혼부부 임대주택 신청방법은? |
5. 시세 40% 임대아파트, 청년 무주택자에게도 기회 |
6. 기관별 매입임대주택 공고 물량 및 접수 일정 |
맺음말 |
1. 신혼부부 임대주택 2025: 어떤 내용이 바뀌었을까?
이번 2차 모집은 청년 2,508호, 신혼·신생아 가구 2,435호 등 총 4,943호가 공급돼요. 2025년 신혼부부 임대주택은 시세의 30~40% 수준으로 제공되는 신혼·신생아Ⅰ 유형(1,584호)과, 시세 70~80% 수준의 신혼·신생아Ⅱ 유형(851호)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신청자 자격 검증 등을 거쳐 이르면 9월 말부터 입주가 가능해요.
지난 3월 1차 모집 때는 청년 1776호, 신혼·신생아 2,299호 등 총 4,075호를 모집 완료했어요.
2. 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우선공급이란?
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우선공급은 최근 2년 이내에 출산하거나 입양한 가구, 임신이 확인된 가구에 대해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제도의 지원 대상 중 1순위로 입주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예요. 신혼부부 임대주택 2025에 신생아 가구 제도가 새롭게 포함되면서 생애 최초 주택 마련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게 되었어요. 정부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꾸릴 정도로 저출산에 대한 걱정이 큰 만큼, 신생아 가구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보여요.
신혼·신생아 가구 주거 지원 대상 기준
-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와 예비 신혼부부
- 최근 2년 내 출생자 또는 2년 이내 출생한 입양자가 있는 가구
- 임신진단서로 임신 사실 확인 가능한 예비 부모
- 6세 이하 자녀를 양육 중인 가구
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우선공급은 2025년 청년 매입임대주택 신청방법이나 예비신혼부부 주택 지원 정책과 함께 혼합해서 살펴보면 더욱 유리해요.
3. 신혼부부 매입임대 소득 기준 및 신청 자격
무주택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공급하는 신혼부부 임대주택 2025에서는 유형별로 소득 기준이 명확히 구분됩니다.
- 신혼·신생아Ⅰ유형: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맞벌이 시 90%) 이하
- 신혼·신생아Ⅱ유형: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30% (맞벌이 시 200%) 이하
신혼부부 맞벌이 소득 기준도 정확히 확인해야 해요. 부부가 함께 소득이 있는 경우는 해당 비율이 더 높아질 수 있어 신청 가능성이 넓어지거든요.
신혼·신생아Ⅰ유형은 시세 30~40% 수준으로 1,584호를 공급해요.
신혼·신생아Ⅱ유형은 시세 70~80% 수준으로 851호를 공급할 계획이에요.
청년, 신혼·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소득·자산 기준
구 분 | 청년 | 신혼·신생아 가구Ⅰ | 신혼·신생아 가구Ⅱ | |
---|---|---|---|---|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
100% 이하 (2순위 본인+부모 |
70% 이하 (부부합산 90%) |
1∼5순위 (부부합산 200%) |
|
자산 기준 |
총자산 |
2순위: 3순위: |
33,700만원 |
35,400만원 |
자동차 |
3,803만원 |
3,803만원 |
- |
|
주택 유형 |
오피스텔 등 |
다가구주택 등 |
다가구주택+ |
|
임대료 |
시세 40%∼50% |
시세 30%∼40% |
시세 70%∼80% |
|
거주기간 |
최대 10년 |
최대 20년 |
최대 10년
(자녀가 있는 경우 최대 14년) |
청년,신혼·신생아 가구 매입임대주택 입주 자격
유형 | 신청자격 | 입주순위 | 자산기준 단위 : 만원) |
||
---|---|---|---|---|---|
총자산 | 자동차 | ||||
청년 | •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 * 대학생, 취업준비생, 또는 19∼39세 | 1순위 | • 수급자, 한부모가족, 차상위 계층 가구 | - | - |
2순위 | • 본인+부모 소득 100% 이하 |
33,700 (국민임대) |
3,803 | ||
3순위 | • 본인 소득 100% 이하 | 25,400 (행복주택-청년) |
3,803 | ||
신혼신생아Ⅰ |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 신생아 출산 가구* *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6세 이하 유자녀), 모집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가 있는 가구 • (소득) 70%(맞벌이 90%) 이하 • (자산) 국민임대 자산기준 |
1순위 | • 신생아 출산 가구 •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
33,700 | 3,803 |
2순위 | • 미성년자녀가 있는 (예비)신혼부부 •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 |
||||
3순위 | • 무자녀 (예비)신혼부부 | ||||
4순위 | •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
신혼신생아Ⅱ |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 신생아 출산 가구* *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6세 이하 유자녀), 모집공고일로부터 최근 2년 이내 출산한 자녀가 있는 가구 • ( 소득) 130%(맞벌이 200%) 이하 • ( 자산) 임대의무기간이 6년인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 자산기준 |
1순위 | • 신생아 출산 가구 •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
35,400 | - |
2순위 | • 미성년자녀가 있는 (예비)신혼부부 •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 |
||||
3순위 | • 무자녀 (예비)신혼부부 | ||||
4순위 | •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
5순위 | • 모든 혼인가구 |
제출 서류
① 공통 제출 서류 신청서 (온라인 작성)
신분증 사본 (본인·배우자), 주민등록등본 (본인·배우자), 혼인관계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예비신혼·세대분리 시), 금융정보제공동의서·개인정보처리동의서, 자산보유사실확인서
② 소득 증빙
- 근로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 자영업자: 사업자등록증 사본,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 기타: 소득금액증명서 등
- 부동산 등기부등본, 예금 잔액 증명서, 자동차 등록원부(자동차 보유 시)
③ 자산 증빙
④ 자녀/임신 관련 서류 (해당자만)
- 임신진단서 / 임신확인서
- 출생증명서 / 입양관계증명서
4. 2025년 청년 및 신혼부부 임대주택 신청방법은?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에서 모집하는 청년(1,378호), 신혼·신생아(2,435호) 매입임대주택 신청은 6월 26일부터 LH청약플러스에서 가능해요. 접수 완료 후 약 2개월 내 입주가 시작될 예정인데요.
LH청약플러스의 임대주택 청약 공고문에서 지역별 공고를 확인하세요.
LH청약플러스 신청 방법 핵심 요약
- LH청약플러스 접속 후 ‘매입임대’ 카테고리 선택
- 청년 또는 신혼부부 유형 중 해당 모집 공고 확인
-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
- 자격 심사 후 입주 대기
5. 시세 40% 임대아파트, 청년 무주택자에게도 기회
청년 임대주택 조건 2025에 해당하는 무주택 미혼 청년은 시세 40~5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최대 10년 간 거주할 수 있어요. 특히 시세 40% 임대아파트 신청은 소득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인기가 높아요.
청년 무주택자 주거지원 정책으로 인해 직장인, 취준생, 프리랜서 모두 지원 가능하다는 점도 큰 장점으로 꼽혀요.
6. 기관별 매입임대주택 공고 물량 및 접수 일정
지역별 입주자 모집 물량
구분 | 서울 | 경기 | 인천 | 광주 | 부산 | 대구 | 대전 | 울산 |
---|---|---|---|---|---|---|---|---|
호수 | 1,256 | 1,281 | 147 | 127 | 356 | 377 | 372 | 56 |
구분 | 강원 | 경북 | 경남 | 전북 | 전남 | 충북 | 충남 | |
호수 | 167 | 125 | 142 | 152 | 23 | 200 | 162 |
한국토지주택공사(3,813호)
사업자 |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 호수 |
모집 공고 |
신청 접수 |
결과 발표 |
입주 일정 |
---|---|---|---|---|---|---|---|
한국 토지 주택 공사 |
청년 매입임대 |
전국 | 1,378 | 6.26 | ’25.7월 초 | ’25.9월 중 | ’25.9월 말 이후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Ⅰ |
전국 | 1,584 | 6.26 | ’25.7월 초 | ’25.9월 중 | ’25.9월 말 이후 | |
신혼·신생아 매입임대Ⅱ |
전국 | 851 | 6.26 | ’25.7월 초 | ’25.9월 중 | ’25.9월 말 이후 | |
공고문 게재 : 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플러스(https://apply.lh.or.kr) |
서울주택도시공사(750호)
사업자 |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 호수 |
모집 공고 |
신청 접수 |
결과 발표 |
입주 일정 |
---|---|---|---|---|---|---|---|
서울 주택 도시 공사 |
청년 매입임대 | 서울시 전역 | 750 | 2025.06.27 (예정) |
’25.7.21~ 7.23 (예정) |
’25.11.21 (예정) |
’25.12.29~ ‘26.2.26 (예정) |
공고문 게재 : 서울주택도시공사(https://www.i-sh.co.kr) |
대구도시개발공사(100호)
사업자 |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 호수 |
모집 공고 |
신청 접수 |
결과 발표 |
입주 일정 |
---|---|---|---|---|---|---|---|
대구 도시 개발 공사 |
청년 매입임대 | 대구시 전역 | 100 | 2025.6 | ’25.6~ 7 |
’25.9 | ’25.10 |
공고문 게재 : 대구도시개발공사(https://www.dudc.or.kr) |
대전도시개발공사(280호)
사업자 |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 호수 |
모집 공고 |
신청 접수 |
결과 발표 |
입주 일정 |
---|---|---|---|---|---|---|---|
서울 주택 도시 공사 |
청년 매입임대 | 대전시 전역 | 280 | 2025.6.12 |
’25.6.13~ 6.19 |
’25.9 | ’25.9 |
공고문 게재 : 대전도시공사(https://www.dcco.kr) |
맺음말
지금 바로 신청 준비하세요
2025년 신혼부부 임대주택은 실제 혜택이 매우 크기 때문에 지금 같은 공급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특히 신생아 가구 매입임대 우선공급 제도는 이전에는 없던 기회이므로, 해당 조건에 해당하는 분들은 적극 신청해보시길 추천드려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LH청약플러스 또는 국토교통부 주거복지지원과의 공식 자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여러분은 지금, 가장 좋은 기회를 보고 계십니다. 늦지 않게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
당신의 아름다운 댓글을 환영합니다. 욕설, 홍보성 댓글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할게요. 감사합니다.